랜섬웨어 최신 정보를 확인 할 수 있습니다.
[ Nqix 랜섬웨어 ]
[ 바이러스/악성코드 활동 접수: Nqix 랜섬웨어 ]
Nqix 랜섬웨어 형태로 추정되는 침해사고 발생하여
이에 해당 상황에 대한 확인 및 주의보를 다음과 같이 전달 드립니다.
Nqix 랜섬웨어
해당 랜섬웨어는 Nqix라고 하며 파일명. id-8자리고유ID.[support@qbmail.biz].nqix 모든 파일을 변경하고 있는 모습을 보이고 있습니다.
작동 방식
파일 버전
[그림1 랜섬웨어 실행 파일 컴파일러 정보 ]
[그림2 윈도우 속성의 파일 정보]
랜섬웨어 동작 특징
Nqix 랜섬웨어는 C++ 기반으로 개발된 악성코드이며, Dharma 랜섬웨어의 변종으로 확인됩니다. 실행 파일은 자체적으로 난독화 처리가 되어 있어 내부 코드 분석이 불가능한 상태입니다. 감염이 진행되면, 암호화 직후 system32 경로에 위치한 meshta.exe(랜섬노트 파일)을 실행하며, %AppData%Roaming 경로에 랜섬웨어 실행 파일과 노트 파일(info.hta)을 복사합니다. 이후 이 파일들을 윈도우 시작프로그램 레지스트리에 등록하여, 시스템 재시작 시에도 동일한 동작이 반복되도록 합니다.
[그림3 실행 파일 및 노트 복사와 시작프로그램 레지스트리 등록 ]
감염결과
안내 파일은 암호화 완료 후 mshta.exe 라는 system32 폴더에 생성이되며 암호화가 진행된 각각의 파일들은 < 파일명.확장자.id-8자리고유ID.[support@qbmail.biz].nqix >으로 변경됩니다.
[그림4 감염결과]
화이트디펜더 대응
화이트디펜더 랜섬웨어의 악성 행위 및 차단 이전에 암호화가 진행될 파일에 대해서도 실시간으로 자동복원을 지원합니다.
[그림5 차단 메시지]
관련있는 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