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랜섬웨어 보안
  • 랜섬웨어 침해 분석, 랜섬웨어 종류, 랜섬웨어 보안 자료 제공

랜섬웨어 보고서

랜섬웨어 최신 정보를 확인 할 수 있습니다.

제목
Wallet 랜섬웨어
등록일
2025-11-16
조회수
179

[ Wallet 랜섬웨어 ]

[ 바이러스/악성코드 활동 접수: Wallet 랜섬웨어 ]

Wallet 랜섬웨어 형태로 추정되는 침해사고 발생하여
이에 해당 상황에 대한 확인 및 주의보를 다음과 같이 전달 드립니다.

Wallet 랜섬웨어

해당 랜섬웨어는 Wallet라고 하며 파일명.확장자.[xmen_xmen@aol.com].wallet 모든 파일을 변경하고 있는 모습을 보이고 있습니다.

작동 방식

파일 버전


[그림1 랜섬웨어 실행 파일 컴파일러 정보 ]


[그림2 윈도우 속성의 파일 정보]

랜섬웨어 동작 특징

  • Wallet 악성코드는 C++로 개발된 랜섬웨어로, 내부 코드는 분석을 어렵게 하기 위해 난독화(Obfuscation) 처리가 적용되어 있습니다. 프로그램이 최초 실행되면 자신의 실행 파일을 시스템 폴더에 복사한 후, 복사된 파일을 재실행하고 원본 프로세스는 종료됩니다. 모든 작업이 완료된 뒤에는 Windows 시작 프로그램 레지스트리 (HKLMSoftwareMicrosoftWindowsCurrentVersionRun) 에 자신을 등록하여, 시스템 재부팅 이후에도 지속적으로 랜섬웨어 감염 노트를 실행하도록 구성되어 있습니다.


    [그림3 복사된 실행파일과 시작프로그램 등록 레지스트리 ]

감염결과

안내 파일은 암호화 완료 후 mshta.exe 라는 이름으로 system32 폴더 위치에 생성되며 암호화가 진행된 각각의 파일들은 < 파일명.확장자.[xmen_xmen@aol.com].wallet >으로 변경됩니다.


[그림4 감염결과]

화이트디펜더 대응

화이트디펜더 랜섬웨어의 악성 행위 및 차단 이전에 암호화가 진행될 파일에 대해서도 실시간으로 자동복원을 지원합니다.


[그림5 화이트디펜더 대응]

Wallet 차단 영상 보러 가기